카테고리 없음

로드 밸런서 L4/L7

개발하는 구름이 2023. 12. 21. 13:20

📌로드 밸런서

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시스템이다. 

 

👉 L4 로드 밸런서 정의

L4 로드 밸런서는 전송 계층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로, 주로 TCP 및 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킨다. L4 로드 밸런서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와 포트,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한다.

 

👉 L7 로드 밸런서 정의

L7 로드 밸런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로, 주로 HTTP 및 HTTP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킨다. L7 로드 밸런서는 요청 내용(URL, 헤더, 쿠키 등)을 기반으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한다.

👉 장단점 및 사용 사례

L4 로드 밸런서의 장점은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. 패킷의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한다. 단점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정보를 활용하지 못해 기능 및 유연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. 사용 사례로는 온라인 게임, 스트리밍 서비스 등 실시간 트래픽 처리가 중요한 서비스에 적합하다.

 

L7 로드 밸런서의 장점은 다양한 기능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. 요청 내용을 분석하여 특정 요청을 특정 서버로 전달하거나, 캐싱 및 압축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단점은 처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점이다. 패킷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정보를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L4 로드 밸런서보다 처리 시간이 더 걸린다. 사용 사례로는 웹 서비스, API 게이트웨이,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(CDN) 등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필요한 서비스에 적합하다.

 

 

👉 L4와 L7 로드 밸런서의 적절한 활용

L4와 L7 로드 밸런서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, 웹 서비스에서는 이 두 기술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. 예를 들어, 실시간 트래픽 처리가 중요한 서비스의 경우 L4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,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필요한 서비스에서는 L7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과 유연성을 활용할 수 있다. 따라서 웹 개발자는 L4와 L7 로드 밸런서의 원리와 사용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, 상황에 맞게 적절한 기술을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.